오늘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빈대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빈대의 특징
빈대의 몸길이는 유충 1.5~3 mm, 성충 5~6 mm 내외이고 불완전변태를 하며, 완전히 성장한 이후로는 길쭉한 달걀 모양이며 납작하다. 더듬이는 4마디인데 마지막 2마디가 가늘다. 주둥이는 3마디로 나누어진다. 홑눈은 없고 겹눈은 뒤쪽으로 널따랗게 뻗었다. 앞가슴등판은 앞쪽으로 오목하며 앞날개는 퇴화화여 작은 판 모양의 날개딱지로 남았고 뒷날개는 없다.
동물의 피를 빨아먹고 사는데, 성충은 체중의 2.5배에서 최대 6배 이상의 혈액을 흡혈하여 뱃속에 저장할 수 있다. 흡혈한 빈대는 몸길이가 10 mm 까지도 늘어나며 반투명한 조직 때문에 몸 전체가 붉게 보이거나, 소화관의 윤곽이 배 너머로 비쳐 보이곤 한다. 새끼가 피를 빨아먹으면 아주 작은 빨간 알갱이처럼 보인다. 침대를 들추면 수천 마리가 꿈틀대는 걸 보면 알아서 숨는 바퀴벌레는 신사나 다름없다.
인간의 피를 먹이로 하는 빈대는 생존을 위해 촘촘한 섬유로 된 침대 매트리스와 시트 속에 숨어 있다가 사람이 누워 움직이지 않을 때 기어나와 흡혈 후 안전한 곳에서 천천히 소화한다.
빈대에 의한 피해
납작하고 작다는 특징을 살려 낮에는 벽의 틈 사이나 침대 이음새에 숨었다가 빛이 없는 밤이 되면 기어나와 피를 빠는데 꼭 어두울 때 활동한다. 따라서 눈으로 잡아 없애기는 어려우며 그냥 벌레가 문 것이겠지 싶어서 방치해 버리면 몇 달에 걸쳐 시달린다. 영어로는 침대 벌레라는 뜻의 '베드버그(bed bug)'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침대 주변에 숨었다가 밤에 나와 침대에서 자는 사람을 문다.
빈대는 모기보다 지능이 떨어져 피가 잘 나오는 곳을 찾을 때까지 한 번에 수 방에서 수십 방 씩 이동하며 계속 물어 뜯는다. 이 때문에 보통 발끝이나 팔 끝에서 시작해서 직선으로 또는 둥글게 물린 자국이 생기는 특징을 보인다. 혈관을 찾지 못해 몸을 기어 다니다 대충 피부가 연하다 싶은 곳은 다 찔러보기 때문이다. 물린 자국도 모기와 다르다. 모기에 물리면 물린 곳을 중심으로 볼록 튀어나오지만, 빈대에 물리면 평평하게 빨갛게 부어오르거나, 송곳으로 피부를 찌른 듯 직경 0.5~1.0 mm 정도로 움푹 파인다.
빈대에 의한 상처는 모기보다 훨씬 가렵고 따갑다. 빈대에 물리면 처음에는 뻘겋게 될 뿐이지만, 10~24시간이 지난 후부터 극도의 가려움이 발생한다. 긁거나 건드릴 경우 빠른 속도로 물집이 확대되며, 심하면 흉이 질 수도 있으므로 조심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벌레 물림에 쓰이는 완화제인 버물리 같은 약은 아예 듣지도 않으며, 약국에서 항히스타민제를 구매하거나 심할 경우 피부과에 가서 따로 치료제를 처방받아야 한다. 세티리진 같은 비수기성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 가려움증이 진정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의약품이므로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다.
빈대의 구충
가장 확실한 방역법으로, 빈대는 살충제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으나 열에 취약하다. 괜히 빈대 잡는데 초가삼간 태운다는 말이 있는 것이 아니다. 50도 이상의 고온을 가하면 완전히 박멸할수 있으며 실제로 북미의 일부 방역업체들이 집안의 온도를 통째로 50도 이상으로 달구는 방법으로 방역을 하기도 한다. 사실상 집 온도를 50도 이상으로 달구는 것이 가장 확실하게 빈대를 몰살시키는 방법이지만, 문제는 열을 가해서는 안 되는 소재로 된 가구가 있으면 이 방법을 쓰기도 애매하다는 점.
헤어드라이어로 고온의 바람을 가하거나 스팀기 등으로 스팀을 쐬어 죽이는 것도 가능하며 침대 시트나 옷을 고온 건조기로 말리기만 해도 해당 옷/시트의 빈대 박멸이 가능하다. 다만 집 전체에 퍼져있는 경우에는 이 방법으로 죽이기에는 무리가 따르니 방제업체를 부르는 게 좋다.
빈대의 예방법 및 처리법
현대의 한국인들이 빈대에 당한다면 보통 해외여행을 간 배낭여행자들이다. 선진국 이미지와 달리 북아메리카, 유럽 쪽에 빈대가 상당히 많은데 여행 커뮤니티에서 베드버그를 검색하면 그 악명을 짐작할 수 있다. 유럽의 경우 겨울이 습하고 심하게 춥지 않으며 밖에서 신던 신발을 집 안까지 그대로 신고 들어오는 입식 문화의 영향이 크다. 게다가 오래된 집들도 많아서 더더욱 심하다. 게다가 러그나 카펫, 침대 등 빈대가 있을 곳이 매우 많기도 하다.
해외여행 시 빈대에 대한 예방법은
- 먼저 최근 1년 내에 빈대가 나타났다는 후기가 있는 숙소, 위치가 좋은데 지나치게 가격이 저렴한 숙소는 피한다.
- 숙소에 도착하면 침대에 볕이 잘 드는지 확인한다. 빈대는 직사광선이 비추는 곳을 싫어한다.
- 매트리스를 뒤집어 구석구석을 확인해 빈대나 빈대의 흔적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용자들이 직접 침대 커버를 씌우게 하는 숙소를 이용하자.
- 철제 프레임 침대를 사용하는 숙소로 간다. 철제 프레임이라고 빈대가 없다는 보장이야 없지만, 적어도 나무 프레임 침대보다는 덜하다.
- 아침에 빈대 전용 살충제를 침대에 뿌려두고 여행을 시작한다.
- 침대서 멀리 떨어진 짐 받침대나 선반에 짐을 두도록 하자.
- 개인위생을 철저히 한다.
-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에서 호스텔은 특히 피하자.
침대에 빈대가 나타났다면 가장 먼저 침대 매트리스를 들춰 침대 아래 박스 스프링과 프레임 부분을 확인하자. 빈대들의 비밀 아지트는 십중팔구 빛이 전혀 들지 않는 이음새, 혹은 박스 스프링과 프레임이 닿은 부분이다. 벌레들과 알들이 삼삼오오 모인 비밀 아지트를 발견했다면 그 프레임과 박스 스프링은 완전히 폐기해야 한다.
오늘은 빈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빈대는 인간 생활에 큰 해를 끼치는 해충이지만 꾸준한 노력 끝에 완전히 박멸할 수 있다는 점 잊지 마세요!
출처 : 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