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왜 우리는 감기에 걸릴 때 콧물이 나타날까요?

by 해풍향 2023. 11. 2.

우리 몸속에서는 하루에 약 1L의 콧물이 생성된다고 해요. 이 중 0.5L는 코 안 점막과 목 뒤로 흘러가고 나머지 0.5L는 비강 내에 존재하는데요. 이렇게 많은 양의 콧물이 어디론가 사라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답은 바로 ‘비강’입니다. 그래서 감기나 비염 등 호흡기 질환에 걸리면 콧속 점막이 붓거나 염증이 생기면서 콧물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콧물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감기에 걸리면 콧물이 나는 이유는?

감기에 걸리면 콧물이 나오는 이유는 우리 몸이 바이러스와 싸우는 방식 때문입니다. 감기 바이러스가 우리의 코나 목을 침범하면, 우리의 면역 시스템은 이를 탐지하고 바이러스를 제거하려고 작동합니다. 면역 시스템의 반응 중 하나로, 코의 점막이 더 많은 점액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 점액은 바이러스를 포획하고, 바이러스가 더 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점액이 코를 통해 밖으로 나오면서 우리는 이를 '콧물'로 인식하게 됩니다. 또한, 이 점액은 바이러스를 포획하고 함께 몸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므로, 콧물이 나오는 것은 사실상 감기 바이러스와의 전투에서 우리 몸이 이기고 있는 증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강이란?

비강은 코와 목 사이에 위치한 공간을 말합니다. 비강은 주로 공기를 숨쉬는 통로로 사용되며, 공기를 체온에 맞게 가열하고, 촉촉하게 유지하며, 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비강은 총 2개가 있으며, 코 중격으로 구분됩니다. 각 비강은 또 세 개의 비강융기(비강 내의 융기 형태의 구조)로 분할되는데, 이들은 상부, 중부, 하부 비강융기라고 불립니다. 이 비강융기들은 비강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고, 냄새를 감지하는 수많은 미세한 미각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강에는 또한 점액으로 덮인 세포가 있어, 들어오는 공기를 촉촉하게 유지하고 먼지와 기타 이물질을 걸러내어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강은 또한 우리가 냄새를 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후각 신경이 위치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강은 호흡기와 후각 감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콧물은 그냥 물 아닌가요?

콧물은 그냥 물이 아닙니다. 콧물은 물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성분들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물: 콧물의 대부분은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물은 코와 비강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바이러스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점액: 콧물에는 점액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점액은 호흡기를 보호하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항체: 콧물에는 바이러스나 세균과 싸우는 데 도움이 되는 항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항체는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의 일부입니다.

세균과 바이러스: 감기나 알레르기 등으로 인해 콧물이 많이 나오게 되면, 콧물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도 함께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콧물은 그냥 물이 아니라 우리 몸이 호흡기를 보호하고, 이물질을 걸러내고, 바이러스와 세균과 싸우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다른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콧물 색깔은 왜 다 다른가요?

콧물의 색깔이 다른 이유는 그 안에 포함된 성분과 그 성분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는 감기, 알레르기, 감염 등 우리 몸의 상태를 반영하기도 합니다.

투명한 콧물: 콧물이 투명한 경우, 이는 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투명한 콧물은 물과 점액, 그리고 소량의 항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흰색이나 밝은 노란색 콧물: 이는 보통 감기나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콧물이 많이 생길 때 나타납니다. 이런 색깔의 콧물은 흰 혈구가 바이러스나 알레르기 원인물질과 싸우면서 생기는 것입니다.

진한 노란색이나 녹색 콧물: 이런 색깔의 콧물은 보통 세균에 의한 감염을 나타냅니다. 세균 감염이 일어나면 흰혈구가 세균과 싸우면서 죽게 되는데, 이 죽은 흰 혈구들이 콧물을 노랗게 또는 녹색으로 만듭니다.

핑크색이나 빨간색 콧물: 이는 코에서 피가 섞인 경우입니다. 이는 코가 건조하거나 자극을 받아서 생긴 코피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콧물의 색깔은 우리 몸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콧물의 색깔이나 양이 평소와 다르거나, 오랫동안 지속된다면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코감기랑 독감이랑 뭐가 다른가요?

코감기와 독감은 둘 다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질환이지만,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 종류와 증상의 정도, 그리고 합병증의 위험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코감기: 코감기는 수백 가지 이상의 다양한 바이러스들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라이노바이러스가 있습니다. 코감기의 증상은 주로 코가 막히거나 흐르는 것, 목이 아프거나 기침, 재채기, 두통 등이 있습니다. 코감기는 대체로 가벼운 질환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 1주일 내로 회복됩니다.

독감: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독감의 증상은 고열, 충격적인 피로감, 근육통, 두통, 기침, 인후통 등으로, 코감기보다 훨씬 강하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독감은 코감기보다 훨씬 더 심각한 질환으로, 특히 노약자나 만성질환자 등은 독감으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심각해지거나 계속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독감의 경우에는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할 수 있으므로, 매년 독감 계절이 시작되기 전에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겨울철 대표질병인 감기 조심하세요~